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3)
[부동산 시리즈] 3. 서울 중부/서부 편 안녕하세요, ​ 지난번 부동산 글의 마지막 문단(춘추전국시대)에 이어서, 부동산 가격의 흐름, 즉 입지 효과가 어떻게 퍼지는 지 지역별로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기존 전통적 입지(용산/서초/강남 등)이외에 이른바..춘추전국시대에는 (서울 중부/서부 기준) 양천구, 마포구, 영등포구, 종로구, 동작구 등에서 고가 아파트가 등장하기 시작합니다. ​ 이른바 각 지역별 대장 아파트가 출현하기 시작하구요. 지역별 상승 원인은 앞 블로그에서 설명 드렸으니 패스 하겠습니다. ​ ​ (40평 이하) 15억 이상 ~ 20억 미만 아파트 아래 처럼 도식화를 좀 시켜봤구요. PPT 로 하려다가 갑자기 PPT가 안되어서 부득이하게, 그림판으로 엉성하게 그렸습니다 ㅎ ​ 보시면 각 지역별 대장 아파트를 중심으로 주변도..
[부동산 시리즈] 2. 서울 평단가(평당가격) 높은 아파트 순위 안녕하세요, ​ 지난번에는 저평가 아파트 즉, 매수하기 좋은 아파트를 살펴봤다면 오늘은 그러면 서울에 어느 아파트가 제일 비싼지 (즉, 어느 아파트가 '입지'가 제일 좋은지) 한번 검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사실 인터넷 찾아보면 평단가 높은 아파트 TOP 5, TOP 10 해서 많이 나오는데요. 그것보다는 좀더 거시적(?)으로 어느 지역에 평단가 높은 아파트들이 분포해 있는 지 살펴 보면 좋을 거 같아서요. ​ 정말 간단하게, 호갱노노의 필터 탭을 이용해서 한번 살펴 봤습니다. 평단가를 한번에 보면 좋겠지만, 일단 기준점을 잡고 필터를 걸면서 봤구요. 국민 평형 (30평)을 기준으로 '40평 이하'로 검색하고, 금액을 점점 내려가면서 아파트의 입지가 어떻게(?) 분포하고 있는지 한번 살펴 볼게요. ​..
[부동산 시리즈] 1. 서울지역 저평가 아파트 (상도 대림, 명일 GS, 행당 두산)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인사드립니다. 언제나 그랬지만 부동산은 늘 화두이고, 무주택자는 매수타이밍인지, 어디를 사야할지가 고민이고 1주택자는 매도타이밍인지, 갈아타야 하는지, 하나를 더(?)사야되는 지가 늘 고민이긴 합니다. 일단 제 지론은 단순하게 봤을 때, 모든 자산은 수요/공급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공급이 부족하면 가격이 오르고, 수요가 많아져도 가격이 오르는 건 너무나도 당연한 상식입니다. 인구 감소 등을 많이 얘기하시는데요. 출산율 감소로 한국민 인구는 감소할지 몰라도, (1) 외국인을 포함한 한국 거주민의 감소 여부 (2) 전국이 아니라 특정 지역의 인구 감소 여부 위 두가지를 체크하는게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그런 점에서 특정 지역 (서울 등)은 인구 감소 등에 따른 가격 하방 요인은 ..